티스토리 뷰
목차
24년 12월부터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이 가능하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올해 5월부터 병원에서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해야 한다는 사실에 모바일(온라인) 건강보험증을 사용해 보셨을 텐데요.
이제는 주민등록증도 모바일(온라인)로 스마트폰에 발급받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당히 편리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특히 위조, 변조를 방지하는 최신 보안 기술이 적용되어 모바일로 사용 할 때 불안감은 최소화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모바일 온라인 주민등록증 발급 수수료도 무료이기 때문에 전혀 부담 가질 필요 없으니 바로 발급받으셔서 편리하게 실생활에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기존에 지갑 속에 넣어 다녔던 실물 주민등록증을 대처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신분증입니다.
정부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신분증인 만큼 스마프폰에 저장하여 언제 어디서나 나의 신분을 확인시켜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앞으로 실물 신분증에서 빠르게 모바일 신분증으로 바뀔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변화에 적응해 보시기 바랍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대상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실물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은 모든 국민이라면 발급 대상에 해당됩니다.
다만 발급받기 위해서는 본인 확인이 꼭 필요한 만큼 신분증을 반드시 소지하고 계셔야 합니다. 본인 확인만 이상 없이 되셨다면 간편하게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무료로 발급받으실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안내
모바일 주민등록증 대상 : 만 17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
모바일 주민등록증 신청조건 : 기존 실물 주민등록증을 소지한 희망장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비용 : 무료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방법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은 온라인, 오프라인 크게 두 가지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의 경우 직접 읍, 면, 동 주민센터 방문을 통해서 하는 방법이고 온라인의 경우 모바일 신분증 누리집에 접속하여 발급받는 방법입니다.
온라인, 오프라인 발급 방법은 크게 어렵지 않고 간단하기 때문에 자신한테 맞는 방법을 선택해서 발급받으시기 바랍니다.
1. 온라인 발급 방법 안내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모바일 신분증 누리집에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1) 모바일 신분증 누리집 접속(PC, 모바일 모두 접속 가능) 또는 앱 다운로드
모바일 신분증 누리집에 접속하시거나 모바일 신분증 앱을 다운로드하셔서 접속하시면 됩니다.
2) 본인 인증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기 위해서는 실물 주민등록증 진위 확인이 가장 중요합니다. 주민등록 번호를 입력하여 본인 진위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휴대전화 본인 인증으로도 본인 인증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암호 설정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발급 시 암호화된 형태로 저장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나 자신만 알 수 있는 비밀번호 설정이 필수입니다.
4) 발급 완료
모바일 주민등록증 신청이 완료되면 스마트폰에 모바일 주민등록증이 발급됩니다.
발급 후 모바일 신분증 누리집 또는 전용 앱을 통해서 신분증을 실물 신분증처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2. 오프라인 발급 안내
오프라인 발급은 직접 읍, 면, 동 주민센터를 방문하시는 방법입니다.
방문 후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을 신청하면 바로그 ㅂ과정에서 생성되는 1회용 QR 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촬영하여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온라인으로 발급이 다소 어려우신 분들은 오프라인이 간단하고 즉시 발급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오프라인 발급 시 스마트폰을 분실하거나 변경할 때 다시 주민센터를 재 방문해야 한다는 점이 단점입니다.
▶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은 무료이며 실물 주민등록증보다 훨씬 편리하게 활용하실 수 있으니 꼭 발급받아보시길 바랍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 사용 방법
모바일 주민등록증 사용 방법은 특별히 설명을 드리지 않더라도 잘 이해하실 것 같습니다.
특히 지난 5월부터 병원에서 신분증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면서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발급하여 활용해 보신 분들이라면 더욱 익숙하실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1. 사용 가능 범위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실물 주민등록증과 동일하게 나의 신원 확인, 거주 관계 증명 등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기관 방문, 은행거래, 병원 방문 등에 활용이 가능하니 스마트폰에 발급받으셔서 편리하게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2. 유효기간 및 재발급
모바일 주민등록증의 경우 유효기간이 발급일로부터 3년입니다.
그리고 재발급의 경우 스마트폰은 교체할 경우 또는 유효기간 3년이 경과했을 경우 재발급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분실 시 대처 방법
모바일 주민등록증의 경우 스마트폰을 분실했을 때 그 즉시 효력이 중단되게 됩니다. 분실 신고 후 신규 스마트폰에서 재발급을 받아야 된다는 점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모바일 주민등록은 최신 암호화 기술이 적용되어 안전하게 개인 정보를 보호합니다. 위조, 변조, 부정 사용을 철저히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심하고 사용하셔도 됩니다.
다만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본인이 사용하는 1대의 스마트폰에서만 발급이 가능하다는 점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스마트폰에 바로 발급받아 편리하게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 모바일 주민등록증의 장점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편리성, 안전성을 대폭 강화한 만큼 기존 실물 주민등록증 보다 많은 분들이 활용하실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1. 간편함
모바일 주민등록증의 가장 큰 장점은 간편함입니다.
실물 주민등록증을 지갑에 넣고 소지하지 않아도 신분 확인을 스마트폰으로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분실 시 모바일 주민등록증의 효력을 즉시 중단 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분실되었던 나의 신분증이 각종 범죄에 노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2. 무료 발급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기존 실물 주민등록증과 다르게 발급 수수료가 전혀 없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또한 별도의 증명사진을 위한 추가적인 비용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초기 발급뿐만 아니라 재발급도 무료로 제공되는 만큼 경제적인 측면에서 상당히 유리합니다.
3. 개인정보 보호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위에서 여러 차례 알려드린 것과 같이 최신 암호화 기술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상당히 안전하게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본인이 사용하는 휴대전화 1대에만 발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중 사용, 타인에 의한 부정 사용이 사실상 불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도난, 분실 시 즉각 효력을 중단시킬 수 있어 정보 유출에 대한 걱정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4. 실물 주민등록증 발급 감소
모바일로 전환되면서 기존의 플라스틱 실물 주민등록증 발급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환경 보호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되며 실물 주민등록증 발급 비용을 줄여 국가의 경제적인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알려드리며
모바일 주민등록증이 발급되면서 실물 주민등록증을 지니고 다녀야 했던 불편함을 상당히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최근 스마트폰으로 모든 것을 다 할 수 있는 세상에서 실물 주민등록증을 불가피하게 들고 다녀야 했던 점이 상당히 불편했는데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으로 인해 간편하게 해소되었습니다.
실물 주민등록증을 사용하고 선호하시는 분들도 분명히 계시겠지만 모바일 주민등록증의 장점 때문에 앞으로 대부분의 국민들이 활용을 하실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꼭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겠지만 모바일 주민등록증이 제대로 도입된 만큼 부족한 부분을 채워나가면서 더욱 편리한 모바일 주민등록증이 되길 바라면서 이만 포스팅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남자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청원 사이트 참여하기(국민의 뜻은?) (2) | 2024.12.05 |
---|---|
25년 별자리 운세 알아보기(신년운세, 삼재띠, 무료 사주 사이트) (4) | 2024.12.03 |
서울시 어린이 안경 지원금 신청하기(최대 20% 할인) (2) | 2024.12.02 |
25년 삼재띠(토끼, 양, 돼지) 알아보기(신년운세 무료) (1) | 2024.12.01 |
2025년 연말정산 12월 체크카드 사용하기(13번째 월급 금액 올리기) (1) | 2024.12.01 |